스텔라루멘(Stellar Lumen)이란? 스텔라루멘에 대한 쉬운 이해

stella lumens logo

1. 스텔라루멘의 탄생

스텔라루멘은 2014년 Jed McCaleb에 의해 개발이 시작되었는데 스텔라 네트워크를 설립한 Jed McCaleb은 2010년 마운트곡스라는 세계 최초의 암호화폐 거래소를 일본에 설립하였고, 마운트곡스의 해킹 사건 이후 거래소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리플랩스(Ripple Labs)를 설립하였었다. 그 후 회사에서 나와 설립한 회사가 바로 스텔라 네트워크이다.

스텔라루멘은 리플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라고도 불리는데 기존 리플의 소스를 하드 포크하여 개발이 시작되었고 리플의 프로토콜을 개선한 새로운 합의 매커니즘인 스텔라 합의 프로토콜(SCP)을 개발하였다.

여기서 개발된 것이 현재의 스텔라루멘인데, 국제 송금을 위해 만들어진 블록체인 기반의 오픈 소스 프로토콜로, 개인과 은행과 송금 전문 회사의 해외 송금 및 결제, 개발도상국의 금융 시스템 개발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은행, 결제 시스템, 사람을 연결하는 플랫폼으로 수수료가 거의 없이 쉽고 빠르고 안정적으로 자금을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 되었다.

2017년에는 IBM과 제휴를 맺고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금융 솔루션을 공동 개발하기로 하였다.

2. 구성과 동작 원리

스텔라루멘 백서(영문):

비트코인의 POW나 이더리움의 POS와는 다르게 스텔라 합의 프로토콜(SCP)을 사용하는데 FBA(Federated Byzantine Agreement)라는 합의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빠른 결제가 가능한 것도 해당 합의 알고리즘 덕분인데, POW의 단점인 연산에 따른 에너지 소모도 많지 않고, POS의 단점인 네트워크에 기여하려면 보증금을 넣을 필요도 없다.

해당 합의 알고리즘에서는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사용자)라면 하나의 시민 노드로 인정하고 1표를 준다. 다만 누구를 신뢰할 것인지는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고 이를 바탕으로 형성된 신뢰 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합의에 도달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SCP를 이해하려면 Slot, Quorum, Quorum Slice라는 개념이 필요한데, Quorum Slice는 어떤 합의에 이르기 위한 일반 노드(사용자)들의 집합이자 Quorum의 하위 집합이다. Quorum은 Quorum 내 모든 노드들의 Quorum Slice까지 모두 포함하는 더 큰 노드 집합을 말한다.

여기서 Slot은 거래 장부의 업데이트에 대한 고유한 식별자이다. 만약 노드 A가 슬롯 i에 대해 업데이트 내용인 x를 자신의 장부에 기록하고 적용한다면 노드 A는 한 번 자신의 장부에 적용한 것은 변경할 수 없고 다른 노드들에게 해당 내용이 알려지게 된다.

이렇게 FBA 시스템은 노드(사용자)가 슬롯 내용(거래 장부 업데이트 내용)에 동의하도록 하는 합의 프로토콜을 실행한다.

사실 상 백서의 내용을 읽으려고 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머리가 아플 것 이다. 쉽게 풀어 얘기하자면 스텔라의 합의 알고리즘에도 신뢰도를 기반으로 티어를 정의하는데 지속적인 합의, 안전한 연결, 다른 노드들의 신뢰를 바탕으로 정해진다. 사용자가 직접 누구를 신뢰할 것인지 선택한다고 하였는데 각 티어 계층의 노드들은 자신의 티어를 참고할 수도 있고 상위 티어를 참고할 수도 있다. 이렇듯 상위 티어에 대한 연결이 가능함으로써 믿을만한 슬롯들이 노드들 사이로 자연스럽게 퍼지도록 하여 정상적인 합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SCP이다.

Commen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